7 이전의 CentOS에서는 iptables-service 를 이용해 방화벽을 설정했었는데
7이후에는 firewalld 를 통해 방화벽 설정을 한다.
iptables는 존재한다. 다만, iptables를 수정하는데 7이후에서는 firewalld를 이용하는 것 뿐이다.
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설정을 하겠지만
처음 기본으로 방화벽을 설정할 것이다.
firewall-cmd --state명령으로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.
(현재 상태 확인)
firewalld를 설치해준다.! (없나보다!)
(firewalld 설치)
(서버라서 종료할 일은 없지만.!)
그리고 마지막 명령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이다.
(firewalld 시작)
처음 사용한 명령으로 다시 확인해보겠다.
(실행중)
가장 중요한 우리는 앞으로 SSH를 이용해 접근할 것이므로 SSH서비스를 등록해둔다.
포트 이름을 지정해도 되지만 서비스 이름으로도 설정 할 수 있다.
ssh 포트를 수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 가능!
(SSH 등록)
그 후 우리는 웹 호스팅을 할 것이기 때문에 http도 추가!
(http 추가)
SSL/TLS를 사용할 것이므로 https도 추가!
(https 추가)
이제 추가한 것들을 확인해보자
(확인)
지금까지 설정한 것들은 default 존인데, conf 파일에 보면 default 존이 public 존으로 설정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제 설정한 것들을 올린다.
(설정 등록)
그 후 enable을 다시 주어서 boot 될 때 실행이 되도록 설정한다.
(enable)
'Web > Web Hos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PS 웹 호스팅 프로젝트 - Apache, Filezilla 설치 (0) | 2018.01.24 |
---|---|
VPS 웹 호스팅 프로젝트 - 시간동기화설정(NTP) (0) | 2018.01.19 |
VPS 웹 호스팅 프로젝트 - 서버대여, SSH설정 (0) | 2018.0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