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글에서는 웹 호스팅의 가장 기본인 Apache 서버를 설치하고 테슽트 해볼 것이다.

Apache 서버 httpd 설치



(httpd 설치)


설치 후 httpd 데몬을 실행시켜준다.



(httpd 실행)


실행하고 포트를 확인해본다.



(포트확인)


80포트가 열려있는 것으로 봐서 httpd가 동작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.

이제 시스템 서비스로 등록하여 부팅될 때마다 실행되도록 설정한다.



(설정)


테스트해본다.

웹페이지에 IP주소를 입력하면 내 서버의 테스트 서버가 나올 것이다.


(테스트 페이지)


이 기본페이지 말고 간단하게 홈페이지를 만들어볼 것이다.(아주 간단히)

Apache의 설정 정보는 아래의 위치에 있다.



(설정 정보)


이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 본다.




(웹 페이지 디렉토리)


/var/www/html에 있는 파일들이 보이는 것이다.
여기에 내가 만든 페이지들을 업로드 시켜두면 여기 있는 페이지들이 인터넷에 보여지는 것이다.





(index 파일)


기본 설정으로 index.html 파일이 보여지게 되어있다.
나는 home.html으로 바꾸었다. 이제 /var/www/html/home.html 이 화면에 보여질 것이다.




(/var/www/html)


위의 경로로 들어가서 home.html을 만들어보았다.



(간단한 페이지)


위처럼 페이지를 아주 간단히 만들고




(서비스 재실행)


httpd 를 재실행해준다.

그리고 인터넷에서 내 IP를 입력해주면 방금 내가 만든 HTML 화면을 볼 수 있다.



(home.html)


그런데 조금 밋밋하다.
사진도 같이 올리고 싶다.

나의 서버와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어야한다. 나의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 할 경우도 있고,
나의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.

이를 위해 FTP를 이용할 것인데, FileZilla를 사용할 것이다.

내 컴퓨터에는 Clinet를 설치한다.



(Client 다운, 설치)


FileZilla가 설치가 다 되면 실행해준다.



(편집-설정)


편집-설정 을 클릭해준다.



(키 파일 추가)


왼쪽 항목 SFTP를 클릭한 후 키 파일을 추가한다.

이전 포스팅 글에서 SSH 키를 만들어 접속할 때 쓰는 그 키 파일이다. 여기에는 private_key 파일을 등록한다.



(파일-사이트 관리자)


그 후 사이트 관리자를 들어간다.



(정보 입력)


여기서 새 사이트를 만들어 준 후 
접속할 호스트 IP를 입력한다.
프로토콜은 SFTP로 설정하고 로그온 유형은 인터랙티브 그리고 사용자 id를 입력한다.

그리고 연결을 하면, 우리가 SSH를 이용해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하던 것과 같이 로그인이 된다.



(로그인 된 화면)


이제 이를 이용해 사진을 내 홈페이지에 올려보겠다.

먼저 내 서버에 사진을 옮긴다.



(사진 이동)


옮긴 사진을 아까 home.html 의 위치에 복사한다.



(사진 추가)


그리고 home.html을 조금 수정해준다.

<img> 태그를 이용하여 사진을 올려준다.



(확인)


홈페이지에 귀여운 보노보노가 올라갔다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