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수, 자료형, 상수, 연산자의 큰 내용은 C와 같다.
새로 정리할 내용은
자동 형변환이다.
모든 연산자가 연산을 시작할 때 int 형으로 변환하고 연산을 한다.
그렇게 되면
byte나 short 같이 int형보다 작은 경우
연산을 위해 int형으로 바뀐 후
다시 더 작은 byte나 short 자료형으로 바뀔 때 컴파일 오류가 생기게 된다.
(주의할 것.)
연산자의 우선순위가 있다.
-> 연산순위를 고려해서 짜야한다. 중요한 부분은 () 치는 습관을 들여야한다.
새로 알게된 내용 중 하나 더 비트 연산자.
& -> 비트단위로 AND연산을 한다.
| ->비트 단위로 OR연산을 한다.
^ -> 비트단위로 XOR연산을 한다.
~ ->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다.
JAVA의 char (문자형)은 문자를 다루는데
유니코드를 지원한다.
Python은 아스키코드로 알고있는데, 유니코드가 다른점은 한글도 지원가능하다는 것이다.
아스키코드는 알파벳, 숫자까지였던거와 정말 좋은점이라 생각이든다.
오늘 공부 중 실수
책의 문제를 푸는 중간에
(코드)
(실행)
오류가.. 뜨는 것이다.
해결
: javac 컴파일은 .java 파일을 해야한다.
-> java 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는 .java가 필요 없었는데 착각했었다.
위 문구를 구글링해보니 바로 나왔다.
(참조 - [난 정말 JAVA를 공부한 적이 없다구요] , 윤성우)
'Programing > JAVA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(5일차) - (2) 클래스 패스, 패키지 (0) | 2016.12.07 |
---|---|
JAVA(5일차) - (1) 클래스와 인스턴스 (0) | 2016.12.07 |
JAVA(4일차) - 메소드, Recursive 메소드 (0) | 2016.12.06 |
JAVA(3일차) - 실행흐름의 컨트롤(조건문,반복문) (0) | 2016.12.05 |
JAVA (1일차) - java compile, .class (1) | 2016.12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