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HTTP (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)
 - 웹(Web)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

* HTTP 메세지 구조
(\ -> 역슬래쉬)

-기본
start line\r\n   (모든 메세지는 스타트라인 한줄을 가지고 있다.)
header-field\r\n (헤더필드는 여러개가 올 수 있다.)
header-field2\r\n
ex)
header-name: header-value\r\n
...
\r\n     (캐리지리턴이 나오면 헤더필더가 다 나왔다는 것이다.
message-body (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.)

1) HTTP request Message
 request line\r\n
 request-header\r\n
 ...
 \r\n
 message-body







(요청 request-line)



1.1) request-line  ( sp :스페이스(공백), 구분자 )
 
 method sp URI(URL) sp HTTP version\r\n
method 필드




(메소드)



(메소드)



URI Vs URL
- URI : Uniformed Resource Identifier (자원에 대한 식별자)
- URL : Uniformed Resource Location (자원에대한 위치)
         : 어떠한 경로에 있는지 정확하게 나와있다.

2) HTTP response Message
 status line\r\n
 response-header\r\n
 ...
 \r\n
 message-body

2.1) status-line ( sp :스페이스(공백), 구분자 )
 HTTP version (sp) status code (sp) reason phrase\r\n

- HTTP의 request-line과 status-line의 구조를 살펴보았다.


+ Recent posts